반응형

-풀이

N = input()

answer = list(N.split())

print(len(answer))

-풀이 설명(느낀 점)

split함수를 이용하여 공백을 구분해서 리스트로 나타낸 뒤 리스트의 길이를 출력한다. 전에 푼 1009번 등 브론즈3 구현 문제에 비해 난이도가 많이 낮다. 문제 by 문제인듯 한 의문..

 

+ Recent pos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