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-풀이
N = input()
answer = list(N.split())
print(len(answer))
-풀이 설명(느낀 점)
split함수를 이용하여 공백을 구분해서 리스트로 나타낸 뒤 리스트의 길이를 출력한다. 전에 푼 1009번 등 브론즈3 구현 문제에 비해 난이도가 많이 낮다. 문제 by 문제인듯 한 의문..
'알고리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프로그래머스][level 2]n^2 배열 자르기 (0) | 2021.10.27 |
---|---|
[구현] 백준 14429(베스킨라빈스31) 브론즈1 (0) | 2021.10.26 |
[구현] 백준 1284(집 주소) 브론즈3 (0) | 2021.10.25 |
[구현] 백준 1205(등수 구하기) 실버5 (0) | 2021.10.25 |
[구현] 백준 8320(직사각형을 만드는 방법) (0) | 2021.10.2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