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Silver III] 서강근육맨 - 20300
성능 요약
메모리: 31860 KB, 시간: 76 ms
분류
그리디 알고리즘(greedy), 정렬(sorting)
문제 설명
로니 콜먼 동영상을 보고 보디빌더가 되기로 결심한 향빈이는 PT 상담을 받으러 서강헬스클럽에 갔다. 향빈이가 서강헬스클럽을 선택한 이유는 PT를 받을 때 사용하는 운동기구를 회원이 선택할 수 있다는 점 때문이다. 하지만, 서강헬스클럽은 항상 사람이 많아서 PT를 한 번 받을 때 운동기구를 최대 두 개까지만 선택할 수 있다.
헬스장에 있는 NN개의 운동기구를 한 번씩 사용해보고 싶은 향빈이는 PT를 받을 때마다 이전에 사용하지 않았던 운동기구를 선택하기로 계획을 세웠다. 그리고 비용을 절약하기 위해 PT를 받을 때 운동기구를 되도록이면 두 개를 사용하기로 했다. 예를 들어, 헬스장에 총 1010개의 운동기구가 있을 경우 PT를 55번 받으면 모든 기구를 다 사용할 수 있다. 99개의 운동기구가 있는 경우에도 PT를 55번 받지만, 마지막 PT를 받을 때는 운동기구를 하나만 사용한다.
하지만 향빈이는 운동기구를 선택하다가 큰 고민에 빠졌다. 왜냐하면 운동기구마다 근손실이 일어나는 정도가 다르기 때문이다. 어떤 운동기구는 자극이 잘 안 와서 근손실이 적게 일어나는데, 어떤 운동기구는 자극이 잘 와서 근손실이 많이 일어난다. 근손실이 죽음보다 무서운 향빈이는 PT를 한 번 받을 때의 근손실 정도가 MM을 넘지 않도록 하고 싶다. 이때, MM의 최솟값을 구해보자. 참고로, 운동기구를 두 개 사용해서 PT를 받을 때의 근손실 정도는 두 운동기구의 근손실 정도의 합이다.
입력
첫째 줄에 서강헬스클럽에 비치된 운동기구의 개수를 나타내는 정수 NN이 주어진다. (1≤N≤10 0001≤N≤10 000)
둘째 줄에는 각 운동기구의 근손실 정도를 나타내는 정수 t1,t2,⋯,tNt1,t2,⋯,tN가 주어진다. (0≤ti≤10180≤ti≤1018)
출력
MM의 최솟값을 출력한다.
근손실 정도의 최솟값을 구하려면 운동기구 2개씩 합한 것들의 최대값을 최소로 만들어야한다.
짝수일 경우, 맨 처음과 끝부터 차례대로 더해주어 최댓값을 출력해주면 된다.
홀수일 경우, 운동기구 1개가 따로 남기 때문에 이 경우에는 가장 큰 근손실 정도를 1개로 잡고 운동하면 되기에 맨 처음와 끝-1 인덱스부터 차례대로 더해주어 최댓값을 출력해주면 해결.
'알고리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Silver I] 타일 위의 대각선 - 2168 (수학) (1) | 2022.08.01 |
---|---|
[Gold IV] 로또 - 2758(dp) (0) | 2022.07.31 |
[Silver IV] 스위치와 램프 - 16960 (구현) (0) | 2022.07.31 |
[Silver III] 넷이 놀기 - 2121 (set) (1) | 2022.07.29 |
[Silver I] 회전 초밥 - 2531 (두 포인터) (0) | 2022.07.2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