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
[Silver III] 바닥 장식 - 1388

문제 링크

성능 요약

메모리: 30840 KB, 시간: 76 ms

분류

너비 우선 탐색(bfs), 깊이 우선 탐색(dfs), 그래프 이론(graphs), 그래프 탐색(graph_traversal)

문제 설명

형택이는 건축가이다. 지금 막 형택이는 형택이의 남자 친구 기훈이의 집을 막 완성시켰다. 형택이는 기훈이 방의 바닥 장식을 디자인했고, 이제 몇 개의 나무 판자가 필요한지 궁금해졌다. 나무 판자는 크기 1의 너비를 가졌고, 양수의 길이를 가지고 있다. 기훈이 방은 직사각형 모양이고, 방 안에는 벽과 평행한 모양의 정사각형으로 나누어져 있다.

이제 ‘-’와 ‘|’로 이루어진 바닥 장식 모양이 주어진다. 만약 두 개의 ‘-’가 인접해 있고, 같은 행에 있다면, 두 개는 같은 나무 판자이고, 두 개의 ‘|’가 인접해 있고, 같은 열에 있다면, 두 개는 같은 나무 판자이다.

기훈이의 방 바닥을 장식하는데 필요한 나무 판자의 개수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
입력

첫째 줄에 방 바닥의 세로 크기N과 가로 크기 M이 주어진다.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 M개의 문자가 주어진다. 이것은 바닥 장식 모양이고, '-‘와 ’|‘로만 이루어져 있다. N과 M은 50 이하인 자연수이다.

출력

첫째 줄에 문제의 정답을 출력한다.

n,m = map(int,input().split()) #세로, 가로
room = []
for i in range(n):
  room.append(input())
cnt = 0


#세로ㅣ연속된 갯수
for i in range(m): #가로 
  height = ''
  for j in range(n): #세로 
    if room[j][i] == '|':
      if height != '|':
        cnt += 1
    height = room[j][i]
      
#가로 -연속된 갯수
for i in range(n): #세로
  width = ''
  for j in range(m): #가로
    if room[i][j] == '-':
      if width != '-':
        cnt += 1
    width = room[i][j]
print(cnt)

문제 그대로 구현해주면 되는 문제. 

세로로 연속된 | 개수와 가로로 연속된 - 개수를 구하면 문제 해결.

+ Recent pos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