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빅오 표기법은 알고리즘의 효율성을 표기해주는 표기법이다.
알고리즘의 효율성은 데이터 개수(n)가 주어졌을 때 덧셈, 뺄셈, 곱셈 같은 기본 연산의 횟수를 의미한다.
빅오 표기법의 특징
1. 상수항 무시 : 빅오 표기법은 데이터 입력값(n)이 충분히 크다고 가정하고 있고, 알고리즘의 효율성 또한 데이터 입력값(n)의 크기에 따라 영향 받기 때문에 상수항 같은 사소한 부분은 무시한다.
예를들어
와 같이 상수항은 무시하고 표기한다.
2. 영향력 없는 항 무시 : 빅오 표기법은 데이터 입력값(n)의 크기에 따라 영향을 받기 때문에 가장 영향력이 큰 항에 이외에 영향력이 없는 항들은 무시한다.
예를들어
와 같이 영향력이 지배적인
이외에 영향력이 없는 항들은 무시한다.
출처: https://noahlogs.tistory.com/27 [인생의 로그캣]
'Computer Science(cs 지식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운영체제(OS)란? (0) | 2021.10.10 |
---|---|
수행 시간 측정 소스코드 (0) | 2021.10.09 |
알고리즘 문제 해결 과정 (0) | 2021.10.09 |
스택(stack), 큐(queue), 연결 리스트(Linked List) (0) | 2021.10.09 |
자료구조와 알고리즘은 필수다. (0) | 2021.10.0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