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Gold V] 벼락치기 - 14728
ChAOS(Chung-ang Algorithm Organization and Study) 회장이 되어 일이 많아진 준석이는 시험기간에도 일 때문에 공부를 하지 못하다가 시험 전 날이 되어버리고 말았다. 다행히도 친절하신 교수님께서 아래와 같은 힌트를 시험 전에 공지해 주셨다. 내용은 아래와 같다.
- 여러 단원을 융합한 문제는 출제하지 않는다.
- 한 단원에 한 문제를 출제한다. 단, 그 단원에 모든 내용을 알고 있어야 풀 수 있는 문제를 낼 것이다.
이런 두가지 힌트와 함께 각 단원 별 배점을 적어 놓으셨다. 어떤 단원의 문제를 맞추기 위해서는 그 단원의 예상 공부 시간만큼, 혹은 그보다 더 많이 공부하면 맞출 수 있다고 가정하자. 이때, ChAOS 회장 일로 인해 힘든 준석이를 위하여 남은 시간 동안 공부해서 얻을 수 있는 최대 점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어 주도록 하자.
입력
첫째 줄에는 이번 시험의 단원 개수 N(1 ≤ N ≤ 100)과 시험까지 공부 할 수 있는 총 시간 T(1 ≤ T ≤ 10000)가 공백을 사이에 두고 주어진다.
둘째 줄부터 N 줄에 걸쳐서 각 단원 별 예상 공부 시간 K(1 ≤ K ≤ 1000)와 그 단원 문제의 배점 S(1 ≤ S ≤ 1000)가 공백을 사이에 두고 주어진다.
출력
첫째 줄에 준석이가 얻을 수 있는 최대 점수를 출력한다.
풀이방법
- 접근 방법
"ㅁㅁ학"님이 알고리즘 분류 배낭 문제와 비슷하다는 스포를 해주신 덕분에 무의식적으로 배낭 문제를 풀었던 기억을 되새겨 빠르게 풀 수 있었습니다.
- 풀이 방법
2차원 배열을 이용한 상향식 dp로 풀었습니다.
과거에 풀었던 코드를 보니 1차원 배열을 이용한 하향식 dp 방법도 괜찮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. (단원별 한 문제이므로 1차원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메모리 절약 가능)
N, T = map(int,input().split()) # 시험 단원의 개수, 공부할 수 있는 총 시간
dp = [[0 for _ in range(T+1)] for _ in range(N+1)]
subject = [[0, 0]]
for i in range(N):
time, score = map(int,input().split()) # 시간, 배점
subject.append([time, score])
for i in range(1, N+1):
for j in range(1, T+1):
if j >= subject[i][0]: # 공부할 수 있는 시간을 초과하지 않을 경우
dp[i][j] = max(dp[i-1][j], dp[i-1][j-subject[i][0]] + subject[i][1])
else:
dp[i][j] = dp[i-1][j]
print(dp[N][T])
'알고리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Platinum V] 찾기 - 1786 (문자열, KMP) (0) | 2023.04.04 |
---|---|
[Gold IV] 전화번호 목록 - 5052 ( 자료구조, 정렬, 문자열 ) (1) | 2023.04.03 |
[Gold IV] 휴게소 세우기 - 1477 (이분탐색) (1) | 2023.03.30 |
[Silver II] 외판원 순회 2 - 10971 (외판원 순회, dfs, 백트래킹) (2) | 2023.03.29 |
[Gold III] 치즈 - 2638 (구현) (1) | 2023.03.2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