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[Silver II] 숫자판 점프 - 2210
성능 요약
메모리: 30616 KB, 시간: 604 ms
분류
브루트포스 알고리즘(bruteforcing), 깊이 우선 탐색(dfs), 그래프 이론(graphs), 그래프 탐색(graph_traversal)
문제 설명
5×5 크기의 숫자판이 있다. 각각의 칸에는 숫자(digit, 0부터 9까지)가 적혀 있다. 이 숫자판의 임의의 위치에서 시작해서, 인접해 있는 네 방향으로 다섯 번 이동하면서, 각 칸에 적혀있는 숫자를 차례로 붙이면 6자리의 수가 된다. 이동을 할 때에는 한 번 거쳤던 칸을 다시 거쳐도 되며, 0으로 시작하는 000123과 같은 수로 만들 수 있다.
숫자판이 주어졌을 때, 만들 수 있는 서로 다른 여섯 자리의 수들의 개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입력
다섯 개의 줄에 다섯 개의 정수로 숫자판이 주어진다.
출력
첫째 줄에 만들 수 있는 수들의 개수를 출력한다.
풀이방법
브루트포스로 모든 지점을 시작 위치로 시작하여 두 가지의 조건을 만족하면 '만들 수 있는 서로 다른 여섯 자리의 수들의 개수'(answer)에 넣어주면 해결 가능하다.
첫 번째 조건 : 방문 관계없이 인접한 6자리의 수
두 번째 조건 : answer리스트에 존재하지 않는 6자리의 수
import sys
sys.setrecursionlimit(10**9)
input = sys.stdin.readline
graph = []
for i in range(5):
graph.append(list(map(str,input().split())))
dx = (1,-1,0,0)
dy = (0,0,1,-1)
def dfs(x,y,str_num):
str_num += graph[x][y]
if len(str_num) == 6:
if str_num not in answer:
answer.append(str_num)
return
for i in range(4):
nx = x + dx[i]
ny = y + dy[i]
if 0 <= nx < 5 and 0 <= ny < 5:
dfs(nx,ny,str_num)
answer = []
for i in range(5):
for j in range(5):
dfs(i,j,'')
print(len(answer))
'알고리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Silver II] 알고리즘 수업 - 깊이 우선 탐색 1 - 24479 (DFS) (1) | 2022.12.09 |
---|---|
[Silver I] 전쟁 - 전투 - 1303 (BFS) (1) | 2022.12.08 |
[Silver II] 특정 거리의 도시 찾기 - 18352 (BFS) (1) | 2022.12.06 |
[Silver I] 효율적인 해킹 - 1325 (1) | 2022.12.05 |
[Silver II] 아기 상어 2 - 17086 (BFS) (2) | 2022.12.03 |